출저: 호야의 블로그 

https://kim-hoya.tistory.com/49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무프로세스 파트 요점 정리입니다. 내용이 많아 2개로 나누어 올리겠습니다. 업무프로세스는 암기 하기 쉽도록 기법, Management, System, 규약 및 표준 파트로 나누었습니다.

 

qnet
 

업무프로세스 용어

*기법

관리기법/1: 안데르센의 방법론,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주도로 번역된 표준방법론

 

벤치마킹 기법: 우수한 상대를 모델로 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운영프로세스를 배우면서 자기혁신을 하는 경영기법

 

AS-IS / TO-BE

AS-IS: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는 것

TO-BE: 미래에 구현하고자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분석

 

SWOT: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기업내부 4가지요소를 찾고 이를 토대로 경영전략 수립, ‘알버트 험프리가 고안

 

4C 분석: Customer(고객 분석), Competitor(경쟁사 분석), Company(자사 분석), Channel(유통 분석)

 

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기업의 핵심 업무를 제외한 업무를 외부 업체에 위탁하여 핵심 업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경영 기법(아웃 소싱)

 

CSF(Critical Sucess Factors): 핵심성공요인, 중요한 정보 결정방법, MIT에서 개발. 전략정보시스템(SIS) 실현 위함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목표달성정도

 

Six Sigma: QC(품질관리), TQC(전사적 품질관리), TQM(전사적 품질 경영), 고객만족의 관점, 모토로라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 재설계)

-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혁신적인 성과를 추구하기 위한 개념

ITA: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EA, TRM, SP)

- EA: 전사적 설계(Enterprise Architecture) 정보화 종합설계도

BPM: (업무 관리) 업무프로세스 간소화

 

Smoke Testing: 기초 안정성 검사, 기기 수리를 하여 다시 작동시켰을 때 연기가 나는지 보는데서 유래된 말

 

 

*Management

SCM(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관리, 생산자->사용자까지 이르는 공급체인을 공학화하여 관리하는 관리기법(채찍효과 자주 발생)

- SCP 시스템 : 기업이 제품 수요를 예측하고, 그 제품에 대한 조달 및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

- SCE 시스템 : 제품이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제품의 흐름을 관리하는 시스템

 

IRM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기업의 정보 자원을 조직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자원 관리 원칙에 따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접근방법

 

ERM (Enterprise Risk Management):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한 리스크 관리 방식

 

SRM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관리하고 평가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경영 기법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기업이 제품의 원가를 낮추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기획부터 설계, 생산, 폐기에 이르는 수명주기를 관리하는 것

 

SLM (Service Level Management)

IT 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 간에 맺은 SLA 결과에 대해 성과와 문제점을 정확히 평가해 개선하는 과정

 

MDM (Master Data Management)

기업의 내, 외부에 산재해 있는 마스터 데이터의 단일화를 통해 활용도를 높이고 오류를 줄이기 위한 모든 활동

마스터 데이터: 고객, 제품, 영업, 공급업체, 서비스 등 기업 비즈니스에서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인 데이터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

 

VRM (Vendor Relationship Management): 개인이 기업에게 제공할 개인 정보, 선호도, 패턴 등을 관리하는 기술, CRM에 반대되는 개념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데이터의 안전한 배포를 활성화하거나 불법 배포를 방지하여 인터넷이나 기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유통되는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ITSM(IT Service Management): IT서비스 지속적인 관리 및 유지 절차(기술, 프로세스, 조직, 인력 관점)

 

SEM(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 전략적 기업 경영

- 기업의 경영정보를 분석하여 경영진이 가치 중심의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세스

VBM (Value Based Management) 기업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를 통해 기업을 관리하는 경영기법

ABM (Activity Based Management) 원가를 산정하고 관리하는 경영기법

BSC (Balance Score Card) 기업의 성과 평가 모델

 

 

*System

DSS (Decision Support System)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효과적인 의사결정 하도록 도와줌

-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형화 되지 않는 문제, 주관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는 문제에 관해 의사결정자가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SIS (Strategic Information System):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 전략정보시스템, 1985

 

CALS - (light speed)라이프사이클, 1980년대 초기 군수(‘s) 조달용도 -> 광속상거래(전자상거래),

 

KMS - 지식관리시스템(know~ Management System)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 기업정보시스템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침입 탐지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비정상적 과정 실시간 탐지

 

BRMS(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비즈니스 규칙 관리 시스템, 복잡하고 다양한 논의를 정의하고 제어

 

TPS(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거래처리시스템, 발생하는 거래자료를 기록하고 처리하는 정보시스템

 

글로나스(Glonass): 위성항법시스템

SBAS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의 정확성, 신뢰성, 이용성을 위한 국제 표준, 정확한 정보를 보내기 위한 보정 자료로 활용

GBAS (Ground-Based Augmentation System)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의 정확성, 신뢰성, 이용성을 위한 국제 표준, 주로 이착륙하는 항공기에 사용

 

*규약 및 표준

ISO/IEC 20000: ITSM에 대한 최초의 국제 표준으로, IT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필요한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명시

 

PKI - 공개키 정보보호 표준, ITU-T, X.509

 

IPsec

- 안전에 취약한 인터넷에서 안전한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규약

- 가상적인 전용 회선을 구축하여 데이터가 도청당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 규약

 

IPv6: IPv4에 이어서 개발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표현 방식의 차세대 버전이다. 128bit의 주소체계

 

IEEE 802.11n: 무선네트워크에 대한 표준 규격, 데이터처리속도가 600Mbps이상임

 

FTP(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을 통한 파일 교환(exchanging file) 프로토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콘텐츠 업데이트(updated)가 잦은 웹사이트의 업데이트된 정보를 쉽게 제공하는 XML 기반 포맷(format), 웹피드(web feed)

 

CC: ISO 15408 표준으로 채택된 정보보호 제품 평가 기준

 

TCP/IP: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인터넷상의 호스트 연결(Connect Host)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의 모음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POSIX: 서로 다른 UNIX OS의 공통 API를 정리하여 이식성이 높은 유닉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규칙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 IT 서비스 관리에 대한 프레임워크 문서들의 집합, 교본(서포트+딜리버리 영역)

 

와이파이 헤일로: 1G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파이 규격

 

UASP (USB Attached SCSI Protocol) - Usb ASsist Protocol

USB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토콜, SCSI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빠른 전송속도

 

공통평가기준: 199968ISO 15408 표준으로 채택된 정보 보호 제품 평가 기준

 

 

 

 

후기 및 정리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조금의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도 가능한 댓글과

왼쪽 아래 ♥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